
진시영
프로젝션 맵핑 / 미디어 퍼포먼스 / 미디어 파사드
미디어 아티스트 진시영 (Siyon, Jin)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서양화), 박사수료
Pratt Institute, School of Art and Design, New Forms전공, M.F.A.(석사졸업), New York, USA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진시영은 미디어 아트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공의 빛과 자연의 빛을 주제로 작업을 하고 기획을 하는 예술가이다. 1971년 광주 생(生)으로 조선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뉴욕 프렛 인스티튜트 아트 앤 디자인 대학원(Pratt Institute, School of Art & Design, New York)에서 뉴폼(New Forms)을 전공, 석사를 졸업하고 귀국 후 조선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회화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창동 창작 스튜디오장기입주 작가(2005-2006)로 본격적인 미디어 작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며 인간미로(2004)라는, 4채널 비디오 프로젝션 작품을 선보였다. 이 작품이 "두개의 현실(Dual Realities)" 제4회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에 선보여지며, 같은 해 "열풍변주곡 (Fever Variations)" 제6회 광주비엔날레 참여하게 된다. 이후, 2007년 ZKM (칼스루에, 독일)의 "Thermocline-New Asian Waves" 와 같은 굵직한 기획전시 등 미디어 아트에 건축적 요소가 더해진 미디어 파사드(Media Façade)에도 여러 번 참여하며 미디어 작가로서의 역량을 넓혀나간다.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서울스퀘어 빌딩, 김포공항 롯데몰등에서 미디어 작품을 선보인 그는 2012년에 광주의 역사적 장소인 구도청 일대에서 광주광역시 최초의 미디어아트 페스티발인"Festival O! Gwangju Media Art"를 기획하여 국내외 37인 미디어 작가들의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미디어 아트, 빛 조각작품들을 전시하는 등 미디어 아트 전시 기획자로도 활동을 시작한다.
현재 발레, 도자예술, 설화수 미디어아트 CF, DDP개관기념전, 야구선수 박찬호 선수와의 '공의 속도' 협업 작품, 푸조(PEUGEOT) 아트카 (Art Car), 기아자동차 아트카 (Art Car)를 제작한 전시와 같은 다양한 장르와도 예술의 경계를 허물며 협업하고 있으며, 광주비엔날레 폴리 참여작가, 충장미디어산업센터 코디네이터 등 융합의 시대에 맞춰, 작가만의 조형언어로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일상
●경력
2017 ‘초월' 융복합예술 공연작품 예술총감독 (나주빛가람혁신도시 한국전력공사, 전남문화관광재단, 문화체육관광부)
2016 ‘PASS' 다원예술 공연작품 예술총감독 (나주빛가람혁신도시 한국전력공사, 전남문화예술재단, 아르코)
2016 광주비엔날레 시민참여프로그램 나도 아티스트 : Healing heart 감독
2016 광주비엔날레 뻔뻔폴리 lll 프로젝트 선정작가
2015 ‘NEW FORMS' 다원예술 공연작품 예술총감독 (나주빛가람혁신도시 한국전력공사, 전남문화예술재단, 아르코)
●수상경력
2011 광주미술상, 광주미술상위원회
2010 상징물 설계 현상공모 최우수상, 광주광역시 서구청
2007 신세계미술상, 광주신세계백화점갤러리
2005 하정웅 청년작가상, 광주시립미술관
2000 무등미술대전 대상
1999 광주광역시 미술대전 대상
1998 광주광역시 미술대전 최우수상
●프로젝트 기획 및 경력
2017
2016 KBS 헤리티지 투모로우_나전경함 미디어아트 제작
2016 제5회 풍류정원 달빛공연 파노라마 미디어 오페라 <소쇄원의 소리풍경>
2016 ASEM 미디어파사드 전통문화관 영상컨텐츠 제작
2015 ‘무등의 빛’ 빛조각 제작 설치, 경관취약지개선사업 (시행:광주광역시/주관:광주디자인센터)
2015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보성차밭 어디까지 가봤니?> 프로젝트 진행 (시행:보성군/주관:보성차박물관)
2015 ‘온고지신’ 충장미디어산업센터 미디어아트 전시 시범사업(광주광역시 동구청)
2015 ‘항해’ 그린발레단 & 진시영 미디어아트, 광산문화예술회관
2015 ‘무등의 빛’ 빛조각 제작 설치, 2015 빛 조각전 -'문화예술의 등대 (광주시립미술관, 은암미술관)
2015 ‘LG OLED TV & Hommage Art Project’ (주)LG전자
2015 ‘Port Journeys, Directors Meeting’ 광주광역시 개최, 프로젝트 매니저
2015 ‘사계’ 그린발레단 공연 영상 참여, 광산문화예술회관
2015 ‘백설공주’ 그린발레단 & 진시영 미디어 아트 협업 공연, 광산문화예술회관
2014 ‘진시영 소울 미디어아트 자동차’ 제작, 광주희망박람회 광주광역시관
2014 ‘Port Journeys, Directors Meeting' 일본 요코하마, 초청 감독
2014 '마을미술프로젝트, 담양예술인의 집‘ 작가대표, 문화체육관광부
2014 '설화수 윤조에센스, 미디어 아트 CF' 제작, (주)아모레 퍼시픽
2014 '더 좋은 내일을 꿈꾸며'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정기공연 영상 연출
2014 '오방선생' 광주시립극단 정기공연 광주1백년사 연극시리즈 영상 연출
2014 담양 세계대나무박람회 전시연출 자문위원
2014 ‘백설공주’ 그린발레단 & 진시영 미디어 아트 협업 공연, 빛고을시민문화관
2013 '백설공주' 그린발레단 & 진시영 미디어 아트 협업 공연, 광산문화예술회관
2013 '국제현대미술 광주 아트비전' 미디어 아트 감독
2013 '광주는 빛입니다' 세계한상대회 개막식 영상 제작
2013 '무돌 1187' 임지형광주현대무용단, 김미숙뿌리무용단 공연 영상 연출
2013 ‘정남진 장흥 물축제’ 개막식 미디어 파사드 영상컨텐츠 제작
2013 'SIYON JIN PEUGEOT ART CAR' 기획, (주)한불모터스
2012 'Festival O! Gwangju Media Art' 총감독
2012 'Media Police' 양림파출소 LED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트 영상 컨텐츠 기획
2012 '빛의 정원' 그린발레단 컨템포러리 발레 & 진시영 미디어아트 협업 공연
2012 'Korean Artist Project' 선정작가
2012 '광주시립미술관 올해의 작가' 선정
2012 진화랑 전속작가
●초대개인전
2015 'Light Club' 이랜드 본사 이랜드 스페이스, 서울, 한국
2015 ‘인간은 하나의 별이다,,,FLOW’ 로고스전원갤러리, 의왕, 한국
2014 '흙, 빛을 품다‘ 대담미술관, 담양, 한국
2014 ‘녹색물결’ Ware House Douglas Rapraik , & Co., Tamsui Historical Museum Tamsui, Taiwan
2014 ‘획’ 2014 광주비엔날레기념 진시영 특별전, 한국미용박물관, 광주, 한국
2014 '인간의 빛' 갤러리 D, 광주, 한국
2013 '빛:Human & Nature'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서울, 한국
2013 '「진시영」전' 아천미술관, 영암, 한국
2013 'LINK=빛으로 흐르다' 방송통신위원회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광주, 한국
2013 'Digital Humanity' 대명 비발디 파크 Gallery Viva, 홍천, 한국
2012 'Digital Humanity' 진화랑, 서울, 한국
2012 '「진시영」전' 대담미술관, 담양, 한국
2012 '광주시립미술관 올해의 작가 「진시영」전'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광주, 한국
2012 'FLOW, 새로운 회화를 향하여' 은암미술관, 광주, 한국
2011 'FLOW' 무등현대미술관, 광주, 한국
2010 '진시영의 Video & LED Installation' 크라운 해태 갤러리, 서울, 한국
2009 '「진시영」광주시립미술관 청년 작가 초대전'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빛 갤러리, 서울, 한국
2009 'THE EYE' 신세계 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 신세계갤러리, 광주, 한국
2008 'Two Wheels' 타이베이 아티스트 빌리지 갤러리, Taipei, Taiwan
2008 'WAVE' 브레인 팩토리, 서울, 한국
2007 'Grand Art Tour(B,V,M,K) 다큐르뽀' 롯데갤러리, 광주, 한국
2006 'DISTANCE' 국립현대미술관 창동 갤러리, 서울, 한국
2004 'DISTANCE' Steuben East Gallery, New York, USA
●2인전
2014 ‘흙, 빛을 품다‘ 광주비엔날레 기념전, 은암미술관, 광주, 한국
●단체전, 기획전
2017 Korean Contemporary Art Now – Time + Timme Da Xiang art sapce, Taipei, Taiwan
2016 트렁크 in Art Port 전시참여 광주신세계갤러리, 광주, 한국
2016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 ART LIVE 전시참여 광주, 한국
2016 우민아트센터 “지속” 청주, 한국
2016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2016 ‘추상 그 이후의 추상, 양림미술관, 광주, 한국
2016 'New Romance, 2016 한국-호주 국제교류전' 호주현대미술관 시드니, 호주
2016 ‘미래의 빛과 풍경’展 세계친환경디자인박람회, 주)한국전력공사, 나주, 한국
2016 ‘하류_전환적 삶의 방식’ 아시아현대미술연대전,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2016 ‘엄마의 일기’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한국
2015 'New Romance, 2015 한국-호주 국제교류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한국
2015 ‘PERFECT BLACK GALLERY,LG OLED TV PROJECT' Munich Airport, MAC-Forum, Munich, Germany
2015 'Ruminaria Contemporary Arts Festival' San Antonio Museum of Art, San Antonio, USA
2015 ‘6th Moscow Biennale of Contemporary Art. Urbi et Orbi (To the City and the World…)’ Moscow, Russia
2015 ‘IFA, LG OLED TV & Hommage Art Project', Messe Berlin, Berlin, Germany
2015 ‘디자인 신명,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디지털 플라워 프로젝트)’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2015 ‘광주미술 어제와 오늘, 광주미술상 창립 20주년 기념’,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2015 ‘Thank You!展’ LYNN FINE ART GALLERY SEOUL, 서울, 한국
2015 ‘The Power of ART' K-water 조력문화관, 안산, 한국
2015 ‘Glass Art & Jazz, Media on Glass Island', 유리섬미술관, 안산, 한국
2015 ‘The Independence day' Lynn Fine Art Gallery SEOUL, 서울, 한국
2015 ‘빛의 대화,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 유니버시아드파크 무궁화동산, 광주, 한국
2015 ‘河流_THE WAY OF LIVING IN TRANSITION_ASIA CONTEMPORARY ART LINKS' Pier-2Art center, Kaohsiung, Tawian
2015 ‘현재를 과거로 열다’ 대담미술관 레지던스 입주작가 단체전, 대담미술관, 담양, 한국
2014 ‘Miracle of Christmas' 5CIJUNG본사사옥, 서울, 한국
2014 ‘대한민국 지역희망박람회’ 광주광역시관,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한국
2014 ‘山、水、人 Taiwan Korea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Collaborative Project, Taipei, Taiwan
2014 ‘Smart Illumination Yokohama' Zou-No-Hana Terrace, Yokohama, Japan
2014 'PRISM-백남준과 뉴미디어아트'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한국
2014 ‘빛의 현대예술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한국
2014 ‘Connection' 갤러리 시:작, 서울, 한국
2014 'SPORTS DESIGN'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개관기념 특별기획전, 서울, 한국
2014 '物質매직' 대한항공 일우스페이스, 서울, 한국
2014 ‘화랑미술제’ 코엑스, 서울, 한국
2014 'Do Something' 함평군립미술관, 함평, 한국
2013 'Impossible Voyage' MoCA Taipei, Taipei, Taiwan
2013 '탄생과 부활전'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
2013 '삼례의 빛, 자연과 과학의 빛-융합' 삼례문화예술촌 VM아트미술관, 완주, 한국
2013 '몸짓 In & Out'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 개관기념전, 광주, 한국
2013 ‘동서의 미래와 소통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2013 ‘충북아트페스티발’ 우민아트센터, 청주, 한국
2013 ‘빛으로 만나는 소통과 창의력 그리고 융합 전’ 국제광산업전시회,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한국
2013 '거시기 머시기'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2013 '아름다움 그 이상의 놀라운 빛' 은암미술관, 광주, 한국
2013 '광주국제미디어아트페스티발' 광주, 한국
2013 '은하철도의 밤' 남포미술관, 고흥, 한국
2013 '지구 하모니' 평창비엔날레, 동해앙바엑스포전시관, 동해, 한국
2013 'DIGIROAD' 한국미술관, 용인, 한국
2013 ‘Rainbow Festival' 광주문화재단, 광주, 한국
2013 ‘ART:GWANGJU:13, 광주국제아트페어’ 특별전, 광주, 한국
2013 ‘DISPENSE KOREA' SPACE WOMB Gallery, NewYork, USA
2013 ‘빛과 어둠을 재생하다. 암전의 순간전’ 광주문화재단, 광주, 한국
2013 ‘은하수에 띄워 보내는 연서’ 광주문화재단, 광주, 한국
2013 ‘문향전’ 은암미술관, 광주, 한국
2012 ‘잊고? 잇고! 송년기념전’ 우제길미술관, 광주, 한국
2013 'Korean Contemporary Art' Wilfrid Israel Museum of Asians Arts and Studies, Kibbutz Hazorea, Israel
2012 ‘2012미디어아트 레지던스 결과보고전’ 광주문화재단 미디어큐브338, 광주, 한국
2012 'Whose History? Which Stories?' Shrine Empire Gallery, New Delhi, India
2012 '빛나는, 양평 개관 1주년기념전'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한국
2012 ‘이코리아 전북비엔날레’ 한국 소리문화의 전당, 전주, 한국
2012 ‘한국, 베트남 수교 20주년 기념 오마쥬 베트남과 한국의 미술세계’ 은암미술관, 광주, 한국
2012 '무유등등,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갤러리 GMA 개관기념전' 갤러리 GMA, 서울, 한국
2012 ‘Air Dream 2012’ 광주MBC, 광주, 한국
2012 ‘Light Vision Expo, The Light Show'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한국
2012 '움직이는 양림미술관 개관기념 초대작가전' 양림미술관, 광주, 한국
2012 '한국디지털아트 대표작가전' Gallery H,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서울, 한국
2012 '한국현대미술전 무등설화 3막 9장' 허난성미술관, 정저우, 중국
2012 '한국현대미술전 무등설화 3막 9장' 금일미술관, 북경, 중국
2012 ‘ART:GWANGJU:12, 광주국제아트페어’ 특별전, 광주, 한국
2012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서울, 한국
2012 '신소장품 2011'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2012 ‘Festival O! Gwangju Media Art 2012' 구도청일대, 광주, 한국
2012 ‘Media Police, LED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트’ 양림파출소, 광주, 한국
2012 ‘미디어아트+구동마을 Report 2012' 광주문화재단, 광주, 한국
2012 ‘Wonil Memories, The Brothers' 한국미술관, 용인, 한국
2011 '앨리스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트' 김포공항 롯데몰, 김포, 한국
2011 ‘토끼와 용이 만나다’ 우제길미술관, 광주, 한국
2011 'Hello! Media Pole' 강남대로 미디어폴 22보드, 서울, 한국
2011 '어제를 담아 내일에 전합니다' 반구대암각화전, 국립고궁박물관, 서울, 한국
2011 '마법의 나라, 양평'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한국
2011 'BYOB Seoul' Gallery LVS, 서울, 한국
2011 'After Effect(잔여효과)' 신미술관, 청주, 한국
2011 ‘광주미디어아트 Now' 광주문화재단 미디어큐브338, 광주, 한국
2011 ‘Creation From The Fingertips, 국제현대미술 광주아트비전’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2011 ‘문화나무 창작공간 미디어_프런티어’ 광주문화재단 미디어큐브338, 광주, 한국
2011 ‘CU & Art Fair' 조선대학교미술관, 광주, 한국
2011 ‘국제디지털판화제’ 광주문화재단 미디어큐브338, 광주, 한국
2011 ‘서서히, 깊숙이 스며드는 물먹빛’ Gallery D, 광주, 한국
2011 ‘Synapse From GJ창립전’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광주, 한국
2010 'Scrutinizing the Stealthy Desire' 서울스퀘어 미디어 파사드, 서울, 한국
2010 ‘LED 미디어 파사드 전’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서울, 한국
2010 '테크놀러지의 명상-미디어의 정원'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한국
2010 ‘Lobby Staring-응시의 공간, 로비’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광주, 한국
2010 ‘Digital Body Desire' 광주 롯데갤러리, 안양 롯데갤러리, 한국
2010 'Light Effect 미술-빛을 더하다' 롯데갤러리, 대전, 한국
2010 ‘ART:GWANGJU:10, 광주국제아트페어’ 특별전, 광주, 한국
2010 'Dessert, 광주비엔날레기념특별기획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2010 'Happy New Art' 미술관 가는길, 서울, 한국
2010 ‘원더풀 아트’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갤러리, 청주, 한국
2010 'DMC 미디어아트 페스티발-Play of Five Sense, 미디어 파사드' 한국큐레이터연구소, 한국
2010 '과학과 함께 떠나는 미술여행-과학놀이터'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한국
2010 'ARKO 작가-중심 네트워크: Decentered' 아르코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한국
2010 '시간의 주소, 소공동 112번지' 소공동 일대, 서울, 한국
2010 ‘Fusion Tech Exhibition 2010' 대전컨벤션센터, 대전, 한국
2010 ‘Extopia, 여수국제아트페스티발’ 갤러리 연, 여수, 한국
2010 ‘전국 미디어아트 작가 초대전’ 조선대학교 미술관, 광주, 한국
2010 ‘솔라 이클립스 전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홍보관, 광주, 한국
2010 ‘어울림 아트쇼, 2010 호텔페어’ 온양관광호텔, 아산, 한국
2010 ‘ART FAIR21, Cologne Art Fair' Cologne, Germany
2010 ‘Light 光 Expo, 빛은_이다. 광주 세계 광 엑스포’ 광주, 한국
2010 ‘Light & Art Exhibition' 신세계갤러리, 광주, 한국
2010 ‘광-디자인 융합 산학산 샌드위치 형 프로젝트, 광주디자인센터, 광주, 한국
2010 ‘솔라 이클립스 창립전’ 자리아트갤러리, 광주, 한국
2010 ‘DIGIFESTA'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2010 ‘하정웅 청년작가상 수상 기념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2009 '미디어-아카이브 프로젝트' 아르코미술관, 서울, 한국
2009 'Hello! Media Pole' 강남대로 미디어폴 22보드, 서울, 한국
2009 ‘꿈꾸는 정원/Unreal Garden' 전주국제영화제 갤러리, 전주, 한국
2009 ‘포토코리아 2009, Shooting Image' 코엑스, 서울
2009 ‘ARKO 작가-중심 네트워크: Decentered' 아르코미술관, 서울, 한국
2009 ‘웰컴 투 운림동 647’ 우제길미술관, 광주, 한국
2009 ‘Salut, Adieu, Ma Mer! 신촌 KT W 갤러리’ 서울, 한국
2009 ‘타임캡슐 : 빛 달리다. 매개공간 미나리’ 광주, 한국
2009 ‘원더풀 아트-리빙퍼니쳐’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한국
2009 ‘Next Generation’ 갤러리 루미나리에, 서울, 한국
2009 ‘무자년 만찬 & 다큐멘터리’ 브레인팩토리, 서울, 한국
2009 ‘빛+공간+디자인’ 관훈갤러리, 서울, 한국
2009 ‘Asia Panic'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2009 ‘충북대학교 미술관 개관기념전’ 충북, 한국
2009 ‘Green Cake Art Fair' 서울신세계갤러리, 부산센텀갤러리, 한국
2009 ‘ARTO Artfair' 그라우갤러리, 부산센텀호텔, 한국
2008 'TOUJOURS AUJOURD`HUI' GALERIE KASHYA HILDEBRAND, Zürich, Switzerland
2008 '과학과 예술의 만남' 국립과천과학관, 과천, 한국
2008 '풍경과 상상 Sight on Site' 아람미술관, 고양, 한국
2008 '손으로 읽는 그림' 북촌미술관, 서울, 한국
2008 ‘동계천 프로젝트, 매개공간 미나리’ 대인예술시장, 광주, 한국
2008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서울, 한국
2008 ‘Taipei Artist Village Open Studio' Taiepi, Taiwan
2008 ‘스튜디오 네트워크전’ 봉산문화센터, 대구, 한국
2008 ‘감+촉’ 우제길미술관, 광주, 한국
2008 ‘해밀, Gallery Light 개관기념전’ Gallery Light, 서울, 한국
2008 ‘광주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오픈스튜디오’ 광주, 한국
2008 ‘Composition' 대청호미술관, 청주, 한국
2008 ‘Hongkong Art Fair' Hongkong
2008 '광주비엔날레 홍보자료관 개관기념 역대 지역 참여작가 근작전‘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2007 'Thermocline of Art - New Asian Waves' ZKM, Karlsruhe, Germany
2007 'Art Linking, 중국송장문화예술축제' 송장예술촌 미술관, 북경, 중국
2007 ‘과학과 예술’ 양재AT센터(사비나미술관 기획) 서울, 한국
2007 ‘에피소드 인 아시아’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한국
2007 ‘현대미술 영상 & 설치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한국
2007 ‘광주시립미술관 신축개관기념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2007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오픈 스튜디오 & 워크샵’ 청주, 한국
2007 ‘광주신세계미술상 수상작가전, 신세계백화점’ 광주, 한국
2007 ‘복숭아꽃, 살구꽃, 창원아시아미술제’ 창원, 한국
2007 ‘신림마을사람들의 이주’ 의재공공미술프로젝트, 광주, 한국
2007 ‘오월의 발견’ 518기념문화관, 광주, 한국
2007 ‘Café Lotte’ 광주 롯데갤러리, 광주, 한국
2006 '두개의 현실'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2006 '열풍변주곡' 광주비엔날레 본전시,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2006 ‘의재 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오픈스튜디오’ 의재미술관 창작스튜디오, 광주, 한국
2006 ‘Document Changdong, 창동미술창작스튜디오 제4기 오픈스튜디오’ 서울, 한국
2006 ‘걸어온 60년 세대를 넘어 미래 미래로’ 조선대학교 미술관, 광주, 한국
2006 ‘뉴미디어 영상설치전’ 조선대학교 미술관, 광주, 한국
2006 ‘즐거운 미술 여행전 1부: 인터렉티브 미디어아트’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2005 ‘15마을이야기’ 구)전라남도 도청 본관, 광주, 한국
2005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부 정년기념 사제전’ 조선대학교 미술관, 광주, 한국
2005 ‘길/Road/Route, 포천 아시아 미술제’ 반월아트홀, 포천, 한국
2005 ‘Light 2005, 하정웅 청년작가 수상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2005 ‘Made In Gwangju'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광주, 한국
2005 ‘지산갤러리 개관기념전 1부: 영상, 설치 전’ 지산갤러리, 광주, 한국
2004 ‘Green Light' 뉴욕 문화원, 갤러리 코리아, NewYork, USA
2004 'Noho - NY Art walk, CHASE Gallery, NewYork, USA
2004 'Pratt, Manhattan' The Hammerstein Ballroom at the Manhattan Center, NewYork, USA
2004 'Brooklyn 후원전‘ Rush Philanthropic Arts Foundation Gallery, NewYork, USA
2004 '순수미술대학 사진전‘ Pratt Institute, NewYork, USA
2004 'Pratt 리그전‘ Pratt South Hall Gallery, NewYork, USA
2003 '미래는 곧 현재‘ BQE33 Gallery, NewYork, USA
2000 '대한민국 청년비엔날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한국
2000 ‘중앙미술대전’ 호암미술관, 서울, 한국
2000 ‘무등’ 경원갤러리, 전주, 한국
1999 ‘21세기를 향한 발언’ 인재미술관, 광주
인터뷰
1. 간단하게 자신을 소개 해주세요.
저는 미디어 아트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공의 빛과 자연의 빛을 주제로 작업을 하고 있는 미디어 아티스트입니다. 2006년 이후 본격적으로 미디어 작가로서 활동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까지는 롯데백화점, 서울스퀘어, 김포공항 롯데몰 등에서 미디어 파사드를 선보였습니다. 광주 최초의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을 기획하기도 하고, 미디어 파사드와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빛 조각 작품 전시, 융복합예술 공연 등을 통해 미디어 아트 기획자 및 예술감독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2.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아버님이 예술가였고, 서양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셨기 때문에 어렸을 적부터 자연스럽게 미술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대학에서 공부하던 시절, 관객이 실제적인 물리적 공간에서 상호 작용하면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보다 직접적이고 총체적인 경험이 가능한 새로운 환경으로써의 공간을 만들고 싶었고, 이를 계기로 비디오 설치 작업을 시작하며 미디어 아트로의 길을 걸어오게 되었습니다.
3.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인간이나 자연이 살아 움직이는 순간에 생성되는 에너지의 흐름의 가시화를 통해 공기 속에 흐르는 에너지는 물리적으로 결코 잡을 수 없으나, 비물질적 흐름의 속도와 잔상을 무한히 이어지는 빛으로 발현시킴으로써 잡을 수 없는 감동의 순간과 흘러가는 순간을 무한히 붙잡아 두고 싶은 영원성과 불멸성을 말하고자 합니다.
4. 주로 사용하시는 표현 방법과 스타일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테크놀로지 영상 매체의 근본인 빛, 그리고 사람을 주제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대자연이 품고 있는 영상의 빛이나 문명의 빛을 다루기도 하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자연스러운 몸짓의 흔적을 인공적인 빛과 자연의 빛이 어우러진 작품으로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빛은 예술가들에게 매력적인 소재이기 때문에, 인간이 빚어내는 가장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움직임을 빛의 흐름과 흔적으로 표현하여 인간과 세계가 소통하는 방식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저는 ‘빛과 사람’에 대하여 끊임없이 연구하고 탐구하여 여러 예술장르의 벽을 넘어 새로운 실험과 시도를 해 보일 것 입니다.
5. 작업 과정에서 중요시 하는 원칙이나 요소가 있나요?
작업은 솔직해야 하고, 그래야 관객에게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이론적이거나 난해하고 부연 설명이 많은 작업은 왠지 매력이 없고 가식적이라고 느끼게 됩니다. 저는 제가 일상이나 삶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것을 작업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예전에는 작업이 풀리지 않으면 그것을 이론적인 것에서 메우려 하였으나 그것은 제 방식이 아님을 깨달았습니다. 저는 결코 작업이 어렵거나 난해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의미가 명확한 작품을 만들고자 합니다.
6. 작품의 영감은 주로 어디서 받으시나요?
제가 느끼는 경험들이 대부분 대중도 함께 느낄 수 있는 공감되는 것들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그것을 좀 더 다른 방법으로 은유 하거나 상징하여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사소한 것에도 깊은 철학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단순한 부분에서도 오히려 통찰과 명료한 정의를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7. 대중에서 어떻게 인정받고 싶으신가요?
미디어아트란,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을 미술에 도입한 것을 말합니다. 파급 효과가 큰 의사소통 수단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예술이지요. 대중들이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솔직하게 감동하듯, 일상에 녹아 든 가치 있는 삶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것들,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는 세상을 저의 시선으로 재해석하여 영상에 담아 관객에게 전달하였을 때, 그것이 대중들에게 어려울 것만 같은 미술 전람회가 아니라 일상적인 삶으로 받아들여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